반응형 해고의 정당성2 수습기간은 3개월 이상 할 수 없나요? (수습평가 / 해고 / 수습기간 연장) 지난 포스트에서 수습기간 중에 최저임금 보다 낮은 임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에 알아보았고, 오늘은 수습기간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수습기간의 제한, 수습기간 중 정당한 수습평가, 해고의 요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습기간의 제한 수습기간이란 회사와 근로자 간에 확정적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한 후 근로자의 역량(작업 능력)이나 회사에서의 업무 능력 훈련을 위한 근로형태를 말합니다. 쉽게 정규직으로 확정 채용하기 위해 테스트하는 기간으로 판단되기도 하며, 많은 회사들이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3개월의 수습기간을 정하고 근로계약의 내용에 포함하여 채용을 진행합니다. 그럼, 수습기간은 왜 보통 3개월일까요? 3개월 이상 적용하면 불법인가요? 결론 먼저 말씀드리면, 수습기간의 한도는 법으로 정해.. 2023. 7. 25. [저성과자 해고]사장님이 내일부터 나오지 말래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해고의 정당성 / 부당해고 / 구제신청 / 신고방법) 해고는 기업(회사) 입장에서 성과 낮은 근로자나 사내에서 사고, 잘못된 행동을 하는 근로자에게 최후의 선택으로 해고를 실시하게 됩니다. 근로자 입장에서 갑자기 해고 통보를 받으면 앞으로의 미래생활과 소득 등 많은 어려운 상황을 겪을 수 있기에 해고는 매우 조심스럽고 정당한 경우에만 시행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해고의 정당성과 부당해고에 대한 대응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당한 해고의 요건 기업(회사)는 근로기준법 제23조에 따라 근로자를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을 하지 못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정당한 이유'란 사회통념상 근로계약을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책임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또한 기업(회사)는 근로자가 정당한 사유가 있더라도, 근로기준법.. 2023. 7.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