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금4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확정! 실 수령액은 얼마? (최저임금 / 소득세 / 4대 보험료 / 식대) 안녕하세요, Papa's Kim 입니다. 금일(2024년 07월 12일), 2025년 최저임금이 노사정 합의에 의해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최저임금이 시작된 1988년 이후 첫 만원 이상의 최저시급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최저시급 10,030원, 그럼 내가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실 수령은 얼마일까요? 세금과 4대보험료 등을 고려한 실 수령액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저임금 인상 추이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2025년 최저임금은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대비 1.7% 인상된 금액입니다. 그럼 과거 최저임금이 어떻게 인상되어 왔는지 최근 추이를 같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최저시급8,.. 2024. 7. 12.
포괄임금제 정당한 연장수당, 휴일수당 청구하기 (feat 3년치)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근무를 하다 보니, 예상치 않은 업무로 인해 연장, 휴일근로를 하게 되어 초과 근무한 시간에 대해 연장수당, 휴일수당을 회사에 청구하였지만, 우리는 포괄임금제를 운영하기 때문에 이미 연장, 휴일근무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였으니 추가 지급할 수당은 없다고 피드백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포괄임금제가 무엇인지? 포괄임금제를 적용받으면 연장수장, 휴일수당은 받을 수 없는 것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괄임금제란? 포괄임금제는 회사와 근로자간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계약 임금(연봉)에 연장, 야간, 휴일근로에 대한 사항을 미리 정하여 예정된 수당을 미리 급여에 포함해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 근로자가 당월에 근로계약에 합의한 연장, 야간, 휴일근무 시간에 대한 수당을 미.. 2023. 7. 12.
소정근로시간 정확히 알자 (feat. 주휴수당, 임금, 수당 계산) 내 시급은 얼마일까? 내가 초과근로(연장근로)할 때 받을 수 있는 수당은 얼마일까? 이와 같이 내 임금과 각종 수당을 계산할 때는 근로시간이 아닌 소정근로시간으로 계산하는데요,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알지 못하면 내 임금과 수당일 정확히 지급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고, 오해가 만들어지기 쉽습니다.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개념과 수당 계산을 사례와 함께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정근로시간이란? 소정근로시간이란, 근로기준법에서 명시한 법정근로시간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와 근로자 상호 간 근로하기로 합의한 시간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근로계약서 및 회사의 취업규칙 등에 명시된 업무 시작 시각부터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을 말합니다. 소정근로시간의 개념이 중요한 이유는 소정근로시간에 따라 내 임금(시급.. 2023. 7. 9.
근로계약서 꼭 쓰세요! (근로계약서 양식 / 계약 내용 / 미작성 벌금) 취업에 성공하고 처음 사회생활을 내딛으며, 예상하지 못했던 어려움에 당황하지 않도록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꼼꼼히 확인하고 계약을 체결해야 일을 하며 불이익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업주(기업)도 정규직, 계약직, 알바에 관계없이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체결해야 하며, 미체결 시 벌금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경 써서 챙겨야 합니다! 근로계약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근로계약서는 일반적으로 사업주가 작성하며, 근로자와 상의하여 내용을 협의하여 체결합니다. 근로계약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근로자 및 사업주의 성명, 주소, 연락처 등 기본 정보 근로계약의 시작일 및 기간 (정규직 또는 계약직 여부) 근로장소 및 근로시간 (일일 및 주간 근로시간) 근로자의 직무,.. 2023.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