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최저임금5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확정! 실 수령액은 얼마? (최저임금 / 소득세 / 4대 보험료 / 식대) 안녕하세요, Papa's Kim 입니다. 금일(2024년 07월 12일), 2025년 최저임금이 노사정 합의에 의해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최저임금이 시작된 1988년 이후 첫 만원 이상의 최저시급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최저시급 10,030원, 그럼 내가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실 수령은 얼마일까요? 세금과 4대보험료 등을 고려한 실 수령액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저임금 인상 추이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2025년 최저임금은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대비 1.7% 인상된 금액입니다. 그럼 과거 최저임금이 어떻게 인상되어 왔는지 최근 추이를 같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최저시급8,.. 2024. 7. 12.
신입사원 수습기간인데 최저임금보다 낮게 받고 있어요. (차액 청구 / 단순노무직 / 편의점 / 알바 ) 근로자 A 씨는 신입사원으로 회사에 첫 출근하고 회사의 안내에 따라 근로계약서를 체결하였습니다. 근데, 근로계약서에 "입사일로부터 3개월간 수습기간을 적용하고, 수습기간에는 계약한 급여의 90%를 지급한다"라고 되어있어, 최초 3개월간의 90%를 지급받았는데, 계산해 보니 최저임금보다 낮은 급여를 받았습니다. 근로자 A 씨는 최저임금과의 차액을 회사에 청구할 수 있을까요? 수습기간이란? 수습이란, 회사와 근로자간에 확정적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한 후 근로자의 역량(작업 능력)이나 회사에서의 업무 능력 훈련을 위한 근로형태를 의미합니다. 쉽게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정규직으로 확정 채용하기 전에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그 기간 동안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수습 종류 후에 최종 채용이 확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3. 7. 24.
2024년 최저임금 산입범위. 식대, 정기상여금은 최저임금에 포함안하나요? (복리후생비 / 정기상여금 / 미산입범위) 2024년 최저임금이 확정되었습니다.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임금은 어떤 것들일까요? 내 연봉계약서 또는 급여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식대는 최저임금 계산에 포함되는 것일까요? 오늘은 최저임금 산입범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식대는 최저임금에 포함되나요? 2023년 근로자 A 씨는 매월 아래와 같이 임금을 받고 있습니다. 근로자 A씨의 임금은 최저임금 위반하는 것일까요? 위의 사례를 보면, 기본급 자체가 2023년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않기에 최저임금 위반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실제 2023년 최저임금을 위반하는 사례는 아닙니다. 왜 그럴까요? 우리나라는 원래 식비나 교통비와 같은 복리후생비용은 최저임금 산입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단지, 2019년부터 기본급 외에 정기상여금과 복리후생으로 지급되는.. 2023. 7. 20.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확정! 실 수령액은 얼마? (최저임금 / 소득세 / 4대보험료) 오늘(2023년 7월 19일) 오전 6시경, 역대 최장기간 동안의 협상을 통해 2024년 최저시급이 9,86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 대비 2.5% 인상된 금액입니다. 최저시급 9,860원, 그럼 내가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실수령액은 얼마일까요?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을 고려한 실 수령액을 같이 알아보도록 합시다. 최저임금 인상 추이 올해 최저임금 9,860원은 전년대비 2.5% 인상된 금액입니다. 과거 최저임금이 어떻게 인상되어 왔는지 최근 5개년 인상추이를 보도록 합시다.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최저시급 8,350원 8,590원 8,720원 9,160원 9,620원 9,860원 월 최저임금 1,745,150원 1,795,140원 1,82.. 2023. 7. 19.
근로계약서 꼭 쓰세요! (근로계약서 양식 / 계약 내용 / 미작성 벌금) 취업에 성공하고 처음 사회생활을 내딛으며, 예상하지 못했던 어려움에 당황하지 않도록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꼼꼼히 확인하고 계약을 체결해야 일을 하며 불이익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업주(기업)도 정규직, 계약직, 알바에 관계없이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체결해야 하며, 미체결 시 벌금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경 써서 챙겨야 합니다! 근로계약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근로계약서는 일반적으로 사업주가 작성하며, 근로자와 상의하여 내용을 협의하여 체결합니다. 근로계약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근로자 및 사업주의 성명, 주소, 연락처 등 기본 정보 근로계약의 시작일 및 기간 (정규직 또는 계약직 여부) 근로장소 및 근로시간 (일일 및 주간 근로시간) 근로자의 직무,.. 2023.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