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평균임금2

퇴직일은 몇 일로 해야 유리할까? (지급일 현재 재직자 조건 / 상여금 / 통상임금 / 계산방법 ) 회사를 잘 다니다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퇴사를 할 경우, 퇴사일에 따라 퇴직금 및 퇴직월의 급여에 이익을 볼 수도 불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며칠에 퇴사해야 통상적으로 유리한지, 어떤 부분을 Check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지급일 현재 재직자" 기준이 있는 회사의 경우 근로자 A씨의 사례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자 A씨의 경우, 상기 연봉계약에 따라 급여지급일이 21일이기 때문에, 퇴사일을 당월 21일 이후로 해야 급여에 불이익을 받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상여금의 지급 기준이 "지급일 현재 재직자"에 한하여 지급하기로 하였기 때문에, 21일 전에 퇴사를 한다면, 정기상여금 전체를 지급받지 못하게 됩니다. 특히나, 통상임금 이슈에서 벗어나기 위해 급여의 항목을 다양화하고 그 .. 2023. 8. 3.
희망퇴직금(퇴직위로금) 계산 방법 사례(통상임금 VS 평균임금) 많은 기업들이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 불가피하게 희망퇴직을 결정하고, 구성원들에게 그 배경과 시기, 희망퇴직금 기준을 공지 후 희망퇴직을 신청하는 구성원에 대해 희망퇴직금 또는 퇴직위로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희망퇴직을 하는 구성원은 어려운 결정을 하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중 하나가 내가 받을 수 있는 희망퇴직금, 위로금은 얼마인지입니다. 오늘은 희망퇴직금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계산에 사용되는 통상임금, 평균임금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희망퇴직금 계산방법 기업들이 희망퇴직을 결정하고 아래와 같이 희망퇴직 신청 공고를 발표합니다. (주)OOO 희망퇴직 신청 공고 (예시) 우리 회사는 대내외적인 어려움을 지속 겪으면서 지난 00년간 총 적자 00억원의 경영 악화가 발생하였습니다. 회사는 .. 2023.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