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예퇴직2

희망퇴직(명예퇴직) 시 실업급여 신청 가능한가요? (자발적 퇴사 / 이직확인서 / 상실코드) 많은 기업들이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으로 희망퇴직(명예퇴직)을 실시하며 실업급여 수급에 관한 사항을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희망퇴직 역시 자발적 퇴사가 아닌 회사의 구조조정 등에 의해 비자발적 퇴사로 인정되어 그간 실업급여 수급에 어려움이 없었지만, 최근 실업급여의 부정수급을 방지하기위해 고용보험에서는 이직사유에 대해 구체적인 질문과 증빙의 요청으로 희망퇴직임에도 불구하고 실업급여를 수급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희망퇴직을 하는 경우 실업급여 수급을 받기위해 준비해야하는 사항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희망퇴직 시 실업급여의 대상이 되나요? 얼마전 PapasAdvice의 다른 포스트에서 실업급여 수급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실업급여 수급조건을 다시 Rem.. 2023. 11. 20.
임금피크제 적용 전 자발적 퇴사 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Feat. 희망퇴직 / 임금피크제 관련 Issue, 소송 사례) 많은 기업들이 정년 연장을 하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줄어드는 임금 때문에 퇴직을 선택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임금피크제의 이유로 자발적 퇴사를 하는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금피크제란? 임금피크제란 연공서열 중심으로 발달한 임금체계 상에서, 2016년 우리나라의 정년이 기존 만 55세에서 만 60세로 연장됨에 따라, 근로자의 고용기간을 늘리고, 회사는 인건비 부담을 낮추는 방법으로, 노사 간의 합의를 통해 도입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근로자가 일정 연령에 도달 한 이후에 근로자의 고용을 유지, 보장하는 것을 조건으로 근로자의 임금을 조정하는 제도이며, 보통 만 55세 이후부터 임금피크제가 적용하고 있으며, 회사에 따라, 조직에 따.. 2023.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