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송2

퇴사 시 동종 업계 전직 금지 약정, 계약에 사인하면 이직 또는 창업하지 못하나요? (정당성 / 소송 / 손해배상) 내가 짧던 길던 소속이 되어 함께한 회사를 퇴직하는 과정에서, 회사는 사직서 외에 동종업계 전직금지 또는 이직금지의 내용을 담은 계약서 또는 약정서 등의 문서를 근로자에게 전달하고 서명을 요청합니다. 만약 퇴사하면서 동종업계 전직금지 계약서 또는 약정서 서명하면 동종업계로 이직 또는 창업을 하지 못할까요?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사 입장에서 동종업계 전직(이직) 금지 요청 이유? 회사 입장에서 퇴사하는 근로자에게 서로 좋게 헤어지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겠지만, 회사는 이익을 창출하고 돈을 버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기에, 회사에서 근로하였던 근로자가 근무하는 동안 지득한 회사의 기밀정보, 고객정보 등 영업비밀과 그 회사만의 고유한 기술을 동종업계의 경쟁업체에게 알려지거나, 유출되는 것은 회사의 잠.. 2023. 8. 26.
[저성과자 해고]사장님이 내일부터 나오지 말래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해고의 정당성 / 부당해고 / 구제신청 / 신고방법) 해고는 기업(회사) 입장에서 성과 낮은 근로자나 사내에서 사고, 잘못된 행동을 하는 근로자에게 최후의 선택으로 해고를 실시하게 됩니다. 근로자 입장에서 갑자기 해고 통보를 받으면 앞으로의 미래생활과 소득 등 많은 어려운 상황을 겪을 수 있기에 해고는 매우 조심스럽고 정당한 경우에만 시행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해고의 정당성과 부당해고에 대한 대응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당한 해고의 요건 기업(회사)는 근로기준법 제23조에 따라 근로자를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을 하지 못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정당한 이유'란 사회통념상 근로계약을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책임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또한 기업(회사)는 근로자가 정당한 사유가 있더라도, 근로기준법.. 2023.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