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면접 Advice

[면접] 면접 질문 Trend ① BEI(과거, 행동 중심) 면접 (feat. 나를 정확히 알아야지)

by Papa Kims 2023. 9. 10.
반응형

다양한 직무의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경험을 거치면서 과거와 현재까지 면접의 방법과 질문의 트렌드가 많이 바뀌어 왔습니다. 압박면접부터 구조화 면접, 토의면접, PT면접, BEI(행동기반) 면접 등 다양하였습니다. 최근에는 블라인드(Blind) 면접이 트렌드가 되면서 지원자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BEI(행동기반) 면접을 많이 활용하는데요, 오늘은 BEI(행동기반) 면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EI면접은 과거, 행동을 중심으로 지원자를 파악하는 면접입니다. 면접을 잘 준비할 수 있는 Advice,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EI (과거, 행동 중심) 면접이란?

BEI면접은 최근 몇년전부터 대기업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는 면접으로 Behavior Event Interview의 약자입니다. 우리말로는 행동, 사건 면접이라고도 불립니다. 블라인드(Blind) 면접이 트렌드화 되고, 지원자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를 과거 사건, 과거 행동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면접입니다. 

 

특히 구조화 면접의 일환으로, 같은 직무에 지원한 지원자들에게 질문을 구조화하고 같은 질문에 어떤 대답을 하는지를 들어보며 직무에 더 적합한 성향과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 지원자를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BEI 면접 시 면접관이 질문하며 지원자에게 Focus하며 평가하는 항목은 ⓛ직무 관련한 비슷한 경험이 있는지? ②경험에서 본인의 행동과 역할을 무엇이었는지? ③사건, 이슈가 있었을 때 해결하고자 본인이 한 행동은 무엇이었는지? 와 같이 한가지 과거의 사건/경험에 대하여 행동한 모습을 구체적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물어보는 것이 통상적인 BEI 면접의 모습입니다. 

 

조금 심한 경우, 압박면접으로도 보일 수 있지만, 과거의 행동중심이기 때문에 내가 경험했던 과거의 일련의 사건에 대해서 있는 그대로 답변을 하면 되기에 오히려 쉽게 답변을 할 수 있는 면접이기도 하지만, 만약 과거 사건에 대하여 거짓말이 보태지거나 꾸며서 경험을 얘기를 하는 경우, 말의 앞뒤가 맞지 않아 면접자 입장에서는 비교적 쉽게 지원자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럼 BEI면접을 잘 보기 위해 준비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나를 정확히 알고, 과거 일련의 사건에 대해 정리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전 포스트에서 모든 면접에 앞서 사전에 준비하면 좋을만한 내용에 대해 설명드린 바와 같이 '지피지기 백전불태' 즉, 상대방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을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말을 다시 한번 강조하려 합니다. BEI면접에서도 결국에는 나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하고, 내 인생에 있어 지원한 직무와 연관된 경험이 무엇이 있는지, 그 상황에서 내 역할과 책임이 무엇이었는지, 내가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 BEI 면접에서 당황할 일이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관련 포스트 : [취준생이 알아야 할] 면접준비 Advice 사전에 준비해야 할 사항 - 지피지기 백전불태

 

[취준생이 알아야 할] 면접 준비 Advice! 사전에 준비하면 더 쉬워지는 면접 (지피지기 백전불태 /

취업을 준비하며 가장 떨리는 순간이 바로 면접입니다. 면접을 진행하기 전까지 어떤 질문이 나올지, 어떻게 답변할지 고민에 고민을 하고 면접장에 도착하고, 면접이 시작되면서 하얗게 준비

www.papasadvice.com

 

직무와 관련된 내 경험 정리해보기 Sample

나를 정확히 알아가는 과정은 모든 면접에 임하기 전에 반드시 한번 해보는 것이 좋다고 백번 강조드립니다. 나에 대한 히스토리를 이전 포스트에서 말씀드렸던 방법으로 한번 정리해 봤다면, 이번에는 내가 가진 경험에서 지원한 직무와 연관된 경험은 무엇이었는지, 그 경험에서 내 역할과 책임, 행동이 무엇이었는지 한번 정리해 보면 BEI 면접 시에도 충분하게 답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직무와 관련된 내 경험을 정리해보기 위해서는 아래의 단계로 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tep 1. 내가 지원한 직무에 필요한 성향, 적합한 태도가 무엇인지 찾아보기

Step 2. 필요한 성향, 적합한 태도에 부합하는 내 경험 찾기

Step 3. 내 경험에서 주요 이슈, 내가 했던 행동을 정리하기

 

Sample을 통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내가 지원한 직무에 대해서 정리해 보며 필요한 역량을 도출해 보고, 필요한 역량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나의 경험을 찾고, 그 경험에 대해 상세한 경험을 정리해 보면, 그 과정에서 내가 가진 역량과 행동에 대해 정확히 인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가 선택한 직무가 나랑 잘 맞는지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마무리

면접의 형태는 날이갈수록 고도화되고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면접관이 궁금한 것은 지원자가 어떤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지원자인가? 그리고 우리가 뽑고자 하는 직무에 적합한 역량을 가지고 있는가? 우리 조직이 바라보는 방향과 같은 생각과 행동을 하고 있는가? 와 같이 지원자에 Focus를 두고 있기 때문에, 결국 중요한 건 나 자신을 정확히 아는 것입니다. 

 

위에서는 보통 내 경험을 말하기 좋은 공모전, 프로젝트, 인턴과 같은 경험들을 Sample로 얘기하였지만, 내가 그동안 살아오면서 겪어왔던 사소한 경험들도 모두 소중한 경험이며, 그 경험에서 나왔던 나의 생각과 행동은 결국 나를 보여주는 행동입니다. 작은 경험이라도 직무와 연관될 수 있기에 꼭 한번 나를 되돌아보는 경험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 본 글은 작성자가 HR담당자로 근무하며 지득하고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이 되었습니다. 혹시라도 잘못된 내용이 있거나 수정이 필요한 내용은 언제든지 말씀해 주시면 수정 조치하여 정확한 내용을 전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