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손해배상2

퇴사 시 동종 업계 전직 금지 약정, 계약에 사인하면 이직 또는 창업하지 못하나요? (정당성 / 소송 / 손해배상) 내가 짧던 길던 소속이 되어 함께한 회사를 퇴직하는 과정에서, 회사는 사직서 외에 동종업계 전직금지 또는 이직금지의 내용을 담은 계약서 또는 약정서 등의 문서를 근로자에게 전달하고 서명을 요청합니다. 만약 퇴사하면서 동종업계 전직금지 계약서 또는 약정서 서명하면 동종업계로 이직 또는 창업을 하지 못할까요?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사 입장에서 동종업계 전직(이직) 금지 요청 이유? 회사 입장에서 퇴사하는 근로자에게 서로 좋게 헤어지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겠지만, 회사는 이익을 창출하고 돈을 버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기에, 회사에서 근로하였던 근로자가 근무하는 동안 지득한 회사의 기밀정보, 고객정보 등 영업비밀과 그 회사만의 고유한 기술을 동종업계의 경쟁업체에게 알려지거나, 유출되는 것은 회사의 잠.. 2023. 8. 26.
퇴사 시 인수인계 문제로 손해배상 청구할 수 있을까요? (30일 전 통보 / 인수인계서 양식) 퇴직을 결심하고 회사의 부서장에게 퇴사하겠다고 통보한 근로자 A 씨, 퇴사일까지는 2주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부서장은 인수인계를 제대로 하지 않고 나갈 경우 그 손해에 대해서 손해배상 청구를 하겠다고 말합니다. 퇴사 시 인수인계 문제로 손해배상까지 책임져야 할까요? 퇴사 시 의무사항 근로자 A씨가 퇴사를 하며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사항이 무엇일까요? 결론적으로 말하면 법적으로 정해져있는 퇴직자의 퇴직 시 의무사항은 없습니다. 법적인 의무사항이 없다고 그냥 아무 때나 퇴사를 하면 될까요? 저는 회사의 인사담당자로서 서 회사의 규정에 따른 모든 사항을 반드시 지킬 필요는 없지만, 사회 통념상 기대가 되는 수준의 도의적인 책임은 다 하고 퇴사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퇴사 시 이것만은 꼭 반드시 Check 하고.. 2023.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