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체휴일2 [보상휴가제] 연장/휴일 근로시간을 휴가로 보상받아 볼까? (보상휴가 1배? 1.5배? 2배? / 대체휴일과 다른점) 부득이하게 연장근로를 하거나 휴일에 근로를 한 것에 대하여 초과근무수당(OT)을 청구하고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워라밸이 중요해지고, 수당으로 받는 것보다 휴가로 보상받기 원하는 직원들도 많이 있습니다. 내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보상휴가를 요청할 수 있을까요? 보상휴가제는 무엇이고 받기 위해 어떤 절차를 진행해야 하는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상휴가제란? 보상휴가제란 부득이하게 주40시간을 초과하여 연장 또는 휴일에 근무한 시간에 대하여 초과근무수당이 아닌 휴가로서 보상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는 근로기준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장근로수당은 1.5배인데 보상휴가도 1.5배로 받나요? 상기 근로기준법 제56조에서 부득이하게 수행하게되는 연장근로, 휴일근로 발생 시 가산되는 임금에.. 2023. 11. 8. 8월 15일 광복절, 공휴일 누구나 쉴 수 있나요? (5인 미만 / 빨간날 / 휴일 수당 / 대체휴일) 2023년 8월 15일 화요일은 1945년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해방이 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을 기념하는 날로,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어 빨간날, 바로 쉬는 날입니다! 그럼 공휴일, 빨간날 누구나 쉴 수 있을까요? 법정 공휴일이란? 법정공휴일은 대통령령으로 지정되어 있는 날로, 흔히 달력에서 볼 수 있는 빨간 날을 의미합니다. 공식적인 의미는 "관공서의 공휴일 규정"에 의해 보장이 되는 휴일입니다. 우리나라는 태어나서 유아교육부터, 고등교육까지 공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공기관의 하나인 "학교"를 다니기에 일반적으로 공휴일, 빨간날은 모두 쉬어 왔습니다. 그럼 사회인인 우리는, 법정 공휴일에 다 쉴수 있나요? 결론적으로, 모두가 쉬는 것은 아닙니다. 법정 공휴일은 위.. 2023. 8. 11. 이전 1 다음